카테고리
설치관련 자주 묻는 질문
각 제품별 설치방법, 영상, 자주 묻는 질문
🅠. 조명 설치시 나사는 어떤 걸 사용해야 하나요?
<나사 종류 및 설명> 나사는 천정 또는 벽 재질에 따라서 맞는 종류를 선택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1. 목재 천장 - 나사못 (Wood Screw): 나무 재질에 직접 나사산을 내어 고정하는 나사로, 나사산이 굵고 나사산 간격이 넓어 목재에 잘 고정됩니다. 2. 철재 천장 - 철판 피스(태핑 나사) (Tapping Screw): 철판을 뚫어 나사선을 직접 만들어 고정하는 나사입니다. 3. 석고보드 천장 - 석고보드용 나사 (Drywall Screw): 석고보드에 특화된 나사로, 얇고 가늘며, 나사산이 날카로워 석고보드에 잘 고정됩니다. - 석고보드 앙카 석고보드에 구멍을 뚫고 앙카를 삽입하여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4. 콘크리트 천장 - 콘크리트 앙카 (Concrete Anchor): 콘크리트 벽이나 천장에 구멍을 뚫고 앙카를 삽입하여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접지선은 꼭 연결해야 하나요?
접지선의 역할 1. 누전 시 전류를 안전하게 흘려보냄 - 조명기구나 전선 피복이 손상되어 금속 외함에 전기가 흐르면, 접지선이 전류를 땅으로 보내서 감전 위험을 줄입니다. - 기기의 금속 외함 전위(전압) 안정화 - 전기 노이즈나 정전기를 방전시켜서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합니다. Q. 접지선을 연결 하지 않으면 조명 사용이 불가능 하거나 큰 문제가 발생하나요? A. 아니요, 대부분의 경우 접지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조명은 정상 작동합니다. 접지는 전등이 켜지기 위한 필수 회로가 아니라, 보조 장치이기 때문이에요. 구형 아파트 이거나 단독 주택의 경우 건축 당시 접지 배선 자체가 안되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TIP. 접지선의 색상은 녹색 또는 노랑색으로 많이 배선하는데 모든 현장이 꼭 그렇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전등을 시공했는데 점등이 되지 않는다면 일반 선을 연결해야 할 곳에 접지선을 연결해서 그런건 아닌지 꼭 체크 해보시기 바랍니다.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콘덴서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나요?
콘덴서의 역할과 원리 콘덴서는 스위치에서 조명을 소등해도 미세한 전류가 흘러 LED에 미세한 빛이 들어오는 "잔불(잔광)현상" 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속입니다. <콘덴서의 원리> 미세 전류의 우회 경로 제공하여 LED로 흐르던 미세 전류가 콘덴서를 통해 흘러서 소등 시 전류가 LED로 가지 않도록 합니다. 쉽게 말해, 콘덴서가 “LED 대신 잔여 전기를 받아서 없애주는 통로” 역할을 해요. Q. 조명 구입시 콘덴서를 꼭 추가 구매해서 달아야 하나요? A. 콘덴서는 역할 그대로 "잔불현상" 이 발생시 필요한 부속으로 모든 현장에서 꼭 사용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전자식 스위치(터치 스위치, 리모컨 스위치, 월패드 등) 스위치에서 잔불현상이 나타날 확률이 일반적인 "기계식 똑딱이 스위치"보다 더 높습니다. 이유는 전자식 스위치는 꺼져도 내부 회로를 살리기 위해 항상 “조금” 전기를 흘립니다.이 차이 때문에 전자식에서 잔불이 더 잦습니다. 하지만 전자식 스위치 라고해서 무조건 잔불현🅠. 콘덴서는 어떻게 설치하는 건가요?
콘덴서는 설치기사님 통해 조명을 설치 할 경우 소정의 비용 추가로 설치가 가능 하시며 (개당 3,000~5,000원 추가) 셀프 설치시에는 아래 사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콘덴서 설치 방법> 분할 점등 거실등과 같이 전선이 들어가는 구멍이 3개인 3P 인경우 콘덴서가 2개 필요 하며, 일반적인 분할점등 없이 사용하는 제품은 제품 당 1개만 설치 하시면 됩니다. #콘센서 설치비용, 콘덴서 설치방법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조명설치는 도배전에 해야하나요? 도배 하고 하나요?
1. 기본 배선이나 전기 공사가 필요한 경우 - 도배 전에 하는 게 맞습니다. - 이유: 배선 작업 시 벽이나 천장을 뜯거나 구멍을 뚫어야 할 수 있어서, 도배 후에 하면 벽지가 손상됩니다. - 예: - 매립형 간접등 설치 (T5, LED바 등) - 스위치 위치 변경 - 신규 전등 배선 추가 2. 단순 조명 교체만 하는 경우 - 도배 후 설치해도 됩니다. - 이유: 기존 배선과 등기구 위치를 그대로 쓰면, 도배가 끝난 상태에서 설치해도 벽지 손상 위험이 적습니다.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주문하면 설치는 언제 가능한가요?
프로라이팅에는 3가지 설치 서비스가 있습니다. 아래 표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지역별 출장비, 설치비용 안내 ▼> #설치날짜, 설치가능 날짜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설치 비용과 설치 요청 방법을 알고 싶어요
프로라이팅 설치 서비스는 일반설치, 딜리버리 설치, 빠른 설치 3가지 서비스가 있습니다. 설치 비용은 일반 설치가 가장 저렴하며 딜리버리 서비스와 빠른 설치 서비스 비용이 출장비와 설치 비용이 조금 더 높습니다. 딜리버리 서비스와 빠른 설치 서비스는 비용이 같습니다. <설치 신청 방법> 일반설치 - 선택안함 (제품 택배 발송) → 도착 후 설치 신청 딜리버리, 빠른설치 - 설치 신청 버튼 클릭 <설치 비용 안내> 설치 비용은 아래 링크를 클릭 하시면 가격표에서 지역별 기본 출장비와 제품별 개당 설치비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prolighting.co.kr/content/content.php?cont=pro_map *** 전기 배선, 증설, 승압 공사 가능 #설치요청, 설치비용, 설치신청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추가 배선 및 스위치를 증설하여 분리점등 하고 싶은데 가능한가요?
Q. 거실 또는 방 조명 배선이 1개 밖에 없는데, 2개로 나눠서 분리 점등을 할 수 있나요? A. 네, 천장 속 배선 구조와 스위치 배선 방식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은 스위치 증설이 가능 합니다. (약 10% 정도의 경우 불가) 불가능 한 경우는 보통 오래된 아파트, 주택에서 발생 됩니다. 배선 비용은 지역에 따라 현장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7~10만원 정도 추가 됩니다. <스위치 증설이 불가 한 경우> 1. 배관이 아니라 천정면이 콘크리트로 되어있고 콘크리트에 전선이 바로 매립된 경우 2. 천장 내부 전선관(파이프)이 없는 경우 3. 배관안에 공간이 여유가 없어 전선 추가 인입이 불가능 한 경우 4. 스위치를 일반 스위치로 변경이 불가능 한 경우 * 홈네트워크 연동 스위치 또는 조명, 난방, 가스차단 등 모든 제어를 월패드로 제어하는 경우 일반 기계식 스위치로 스위치 변경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증설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전선이 없는 곳에 추가 조명을 설치, 또는 이동 설치 가능한가요?
<추가배선, 배선이동, 조명추가, 조명 이동설치 방법> A. 네, 가능합니다. 천정 위에 여유공간이 있다면 배선 추가, 이동 설치등 모두 가능합니다. 방법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엣지조명 교체시 기존 구멍 때문에 설치가 안되요
엣지 조명을 새로 교체 할 경우 기존 구멍이 너무 커서 혹은 천정 석고가 일부 부서져서 나사가 단단히 고정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토글앙카(나비앙카)를 사용하시면 단단하게 고정이 가능 합니다. <토글앙카> #엣지조명 교체 [프로라이팅 바로가기▼]🅠. 차단기 용량에 따라 몇 와트까지 사용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차단기 규격별 허용 전력(W) 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안전 사용 권장 전력 만큼 사용을 추천 드립니다. 차단기 용량 (A)(암페어) 이론적 최대 전력 (W)(와트) 안전 사용 권장 전력 (W, 약 80%) 15A 3,300W 약 2,600W 20A 4,400W 약 3,500W 30A 6,600W 약 5,200W 50A 11,000W 약 8,800W 100A 22,000W 약 17,600W #차단기 허용전력량 [프로라이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