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TA Wallet은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 (거래) 을 진행할 수 있는 지갑, 즉, 가상자산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Beta 서비스 중입니다.
유저에게 친절합니다.
제 3자의 개입 없이 각 유저가 본인의 자산을 독립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비수탁형 지갑이지만, 관리와 복구 등에 대한 책임까지 온전히 넘기지는 않습니다.
고유의 보안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자산에 대한 통제권은 유저에게 부여하되, 별도의 시드 문구 암기나 번거로운 보관 과정 없이도 프라이빗 키를 복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쉽고 편리합니다.
ZEP에서만 가능한 여러 가지 Web3 경험을 위해 기존에 요구되었던 복잡한 과정을 간소화했습니다.
더이상 크롬 익스텐션 형태의 지갑을 설치하고, ZEP 플랫폼에 연결하고, 트랜잭션을 보낼 때마다 서명을 진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멀티체인을 지원합니다.
현재 EVM 기반의 Ethereum, Klaytn, Polygon, Near 체인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각 네트워크의 기본 통화로 사용되는 네이티브 토큰 외에도 ERC-20 토큰과 ERC-721 토큰 (디지털 에셋) 을 지원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Non-EVM 체인들을 추가 예정에 있습니다.
아직까지 Web3의 진입 장벽은 높습니다.
생태계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수인 지갑은 생성부터 활용, 복구까지 불편한 UX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새로 유입된 유저들은 가이드라인 없이 선택지만 무수한 환경에서 무엇부터 해야할지 몰라 결국 이탈하는 경우도 잦습니다.
ZETA Wallet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소합니다.
소셜 로그인만으로 생성/관리 가능한 지갑 계정
쉽게 실행하고 재밌게 응용할 수 있는 트랜잭션 진행 과정
유저가 프라이빗 키를 분실해도 복구 가능하도록 설계된 알고리즘
펀치 성공률에 따라 토큰을 잃거나 얻을 수 있는 Web3 결투 게임 (ZETA Wallet 소유자만 참여 가능)
Web3를 재밌고 위화감 없게 즐길 수 있게끔 접목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 (e.g. 미니 게임)
특정 생태계의 기능 혹은 자산 기반의 출입 제어를 통한 커뮤니티 구축
현재 ZETA Wallet은 24년 7월 이전에 지갑 기능이 활성화된 스페이스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지갑 기능을 자신의 스페이스에 활성화하고 싶다면 스페이스 설정에서 지갑 기능(Beta) 토글을 켜주세요.
지갑 기능이 성공적으로 활성화된 경우, 사이드바 좌측 하단에 Zeta 지갑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ZETA Wallet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ZEP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처음 이용하는 유저의 경우, 로그인 외에도 지갑 생성 작업이 필요하며 진행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스페이스 좌측 하단의
내 프로필
을 클릭합니다.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이메일 계정으로 로그인을 진행해줍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접속되어 있던 스페이스가 새로고침 됩니다.
새로고침 후 스페이스에 재접속되면, 사이드바에 위치한
Zeta 지갑
버튼을 클릭합니다.이용을 위한 약관 동의 모달창이 뜨면 해당 내용 확인 후 동의합니다 버튼을 클릭합니다. 약관에 동의한 경우에만 Zeta 지갑 생성 및 활용이 가능합니다.
※ ZETA Wallet UI는 기본 영문으로 지원합니다.
PIN 번호 생성을 위해 정확한 생년월일을 입력해주세요.
보안강화를 위해 사용할 6자리의 PIN 번호를 설정해줍니다.
입력 오류 방지를 위해 방금 입력한 PIN 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주세요.
PIN 번호 설정 및 확인까지 마무리되면, 지갑 생성이 완료됩니다.
설정한 PIN 번호는 지갑 속 자산을 전송하는 트랜잭션 보내기나 프라이빗 키 내보내기 등의 보안이 중요시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사용되며, 언제든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유저의 프라이빗 키, 복구 문자, PIN 번호에 대한 관리 책임은 모두 유저 본인에게 있으며, 이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이용하도록 하여서는 안 됩니다.
ZETA Wallet의 메인 페이지는 총 3개의 기본 탭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Token (토큰)
Digital Asset (디지털 에셋)
Transaction (거래 내역)
ZETA Wallet의 설정 페이지에서는 아래와 같은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Testnet 활성화
프라이빗 키 내보내기
PIN 번호 변경
커스텀 토큰 추가
토큰 탭에서 Add Token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가하고 싶은 토큰의 컨트랙트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올바른 주소가 입력되었을 시 나머지 정보는 자동으로 완성되며 모든 정보가 입력 되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Confirm
버튼을 클릭하면 ZETA Wallet 토큰 리스트에 해당 토큰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토큰 전송
ZETA Wallet에 들어있는 토큰을 다른 곳으로 전송하고 싶은 경우, 전송하려는 토큰을 클릭하면 열리는 드롭다운 상세창에서 Send Token 버튼을 클릭합니다.
받는 사람의 지갑 주소와 전송할 수량을 입력한 뒤
Send
버튼을 클릭합니다.
토큰은 블록체인 상에 등록된 유효한 주소로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ZETA Wallet에 보유하고 있는 수량 내에서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전송 과정에는 일정 수량의 수수료가 각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지불되며,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책정되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IN 번호까지 입력 단계까지 완료하면 토큰이 전송됩니다.
토큰은 ZEP 에서 아래와 같이 활용해보세요!
토큰 Door
토큰 기반으로 열리는 특별한 공간을 즐겨보세요!
ZEP의 Door (도어) 기능을 사용하면 보유하고 있는 토큰을 바탕으로 한 출입 제어 설정 가능해집니다!
맵 에디터 > 오브젝트 > 오브젝트 설정 > 개발자 기능 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나의 ZETA Wallet에 들어있는 디지털 에셋을 다른 곳으로 전송하고 싶은 경우,
전송하려는 디지털 에셋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열리는 해당 디지털 에셋의 상세창에서 Send 버튼을 클릭합니다.
받는 사람의 지갑 주소를 입력한 뒤 Send 버튼을 클릭합니다.
디지털 에셋은 ZEP 에서 아래와 같이 활용해보세요!
개인 지갑에 소장된 디지털 에셋은 ZEP에서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지갑 안에만 들어있던 디지털 에셋을 세상 밖으로 꺼낼 시간! 자신이 소유한 디지털 에셋을 타인에게 자랑해보기도 하고, 지갑에 소장된 디지털 에셋들로 전시회도 개최해보세요. 특정 디지털 에셋 소유한 홀더들만 입장 가능한 프라이빗한 공간을 오픈할 수도 있답니다.
디지털 에셋 커뮤니티에 관심 가진 사람들이 모여 담소를 나누다 민팅에 성공한 사람들끼리 곧바로 생산적인 논의를 진행하는 모습, 자연스럽지 않나요? 소통하는 공간과 실행하는 공간을 하나로 만들어내는 ZEP은 홀더들을 진정한 공동체로 연결해줄 수 있는 최적의 메타버스입니다.
디지털 에셋 에블럼
지갑이 정상적으로 연동되었을시, 스페이스 입장 후 좌측 하단에 보이는 내 프로필 버튼을 누르면 펼쳐지는 프로필 창에서 내가 소유한 디지털 에셋 콜렉션을 볼 수 있습니다.
소유하고 있는 디지털 에셋 엠블럼으로도 착용할 수 있습니다.
엠블렘으로 착용한 디지털 에셋은 내 아바타의 머리 위에 장착되며, ZEP 스페이스에서 활동하는 내내 다양하게 자랑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에셋 Door
ZEP의 Door (도어) 기능을 사용하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에셋을 바탕으로 한 출입 제어 설정이 가능해집니다!
맵 에디터 > 오브젝트 > 오브젝트 설정 > 개발자 기능 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디지털 에셋 런치패드
나만의 디지털 에셋을 만드는 과정부터, 많은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민팅하는 단계까지! 디지털 에셋 런치패드 하나로 모든 것들이 손쉽게 이뤄질 수 있습니다.
ZEP은 소통과 행동이 동일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모두를 위한 메타버스를 그려가고 있습니다.
디지털 에셋 전시
ZEP을 디지털 에셋 전시 공간으로 활용해 관람객에게 다층적인 경험을 제공해 보세요.
ZEP을 디지털 에셋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세요. 누구든 들어와 자유롭게 관람하게 할 수도 있지만, 위에 소개된 디지털 에셋 Door 기능을 통해 특정 디지털 에셋을 보유한 사람들만 들어와 관람할 수 있는 전시회를 개최할 수도 있습니다!
ZEP의 수많은 기능을 활용해, 또 다른 층의 디지털 에셋 경험을 제공해보세요! ZEP은 누구든 다양한 기능을 조합해 창의적인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입니다.
Use case: 3spaces (스페이스 링크: https://zep.us/play/8MvA72)
완료된 거래
완료된 거래 리스트중 자세히 보고 싶은 내역을 클릭하면 해당 거래에 대한 상세창이 뜹니다.
실패한 거래
실패한 거래 리스트중 자세히 보고 싶은 내역을 클릭하면 해당 거래에 대한 상세창이 뜹니다. 상세창에서 제공되는 내용을 통해 거래가 실패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진행중인 거래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속도에 따라 거래 내역이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진행중인 거래는 완료 혹은 실패하기 전까지 거래 내역 상단에 진행중으로 표시됩니다.
설정 페이지 하단에 위치한 Activate Testnet 버튼을 클릭해 Testnet을 활성화 시키면, 각 네트워크의 Testnet에 ZETA Wallet을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
Klaytn Testnet에서는 Testnet 환경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Testnet KLAY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네트워크가 연결된 토큰 탭에서 Receive Testnet Tokens버튼을 클릭하면 끝!
Export Private Key
버튼을 클릭하고 PIN 번호로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표시되는 프라이빗 키 옆
복사
아이콘을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키는 ZETA Wallet의 계좌 비밀번호와 같은 개념으로, 해당 프라이빗 키를 통해 ZETA Wallet 계정이 보유한 자산에 접근하거나 사용할 수 있기에 노출에 각별히 주의해야합니다.
Change PIN
버튼을 클릭하고, 현재 사용중인 PIN 번호를 입력합니다.
생년월일을 입력해줍니다.
새로운 PIN 번호를 설정하고, 입력 오류 방지를 위해 한 번 더 입력해줍니다.
모든 단계를 정상적으로 마치면 PIN 번호 입력창이 닫히며 변경이 완료되었다는 안내가 뜹니다.
상상하는 모든 것이 가능해지는 ZEP 플랫폼에서 ZETA Wallet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소개된 사례 외에도 메타버스와 콘텐츠가 접목되는 한, ZETA Wallet을 통해 불러올 수 있는 재미와 색다름은 무궁무진합니다!
ZE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미니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게임 컨텐츠에 ZETA Wallet을 접목하면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선사할 수 있습니다.
결투 게임에서의 펀치 한 번으로 상대방의 토큰을 빼앗아 오거나, 가위 바위 보 게임에서 최후의 생존자가 되어 다른 탈락자들이 참가비로 지불한 토큰을 상금으로 지급 받는등 토큰과 디지털 에셋이 오고 가는 게임 컨텐츠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ZEP에서 제공하는 Web3 기능중 하나인 디지털 에셋 런치패드는 디지털 에셋 발행 뿐 아니라 메타버스 스페이스에서의 발행 및 판매까지 지원합니다.
해당 기능을 통해 특정 디지털 에셋을 구매하고자 하는 유저가 ZETA Wallet을 소유한 경우, 다른 지갑을 활용하는 유저와 달리 클릭 한 번으로 구매를 완료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에서 지갑이란 트랜잭션 (거래) 을 진행할 수 있는 가상자산 관리 프로그램을 뜻하며, 모든 정보와 자료가 특정 개인이나 조직의 개입 없이 탈중앙화되어 관리되는 Web3 생태계에 꼭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지갑은 블록체인 상에 공개되는 주소이자 계좌 번호 역할을 하는 지갑 주소 (퍼블릭 키) 와 계좌 비밀 번호의 역할을 하는 프라이빗 키를 가지며, 프라이빗 키 분실시 해당 지갑의 모든 자산을 잃을 수도 있기에 각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ZEP은 유저에게 절대로 프라이빗 키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토큰 컨트랙트 주소를 찾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특정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과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Block Explorer에 접속해 찾고 싶은 토큰을 검색하는 것입니다.
이때, 컨트랙트 주소를 찾고 싶은 토큰이 어떤 네트워크에서 발행 되었는지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Block Explorer가 달라집니다.
Ex: Etherscan에 Cronos 코인을 검색해 찾은 컨트랙트 주소
Ethereum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정보: Etherscan
Klaytn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정보: Klaytnscope
Polygon 네트워크 기반의 토큰 정보: Polygonscan
Mainnet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는 블록체인에 실제로 저장되며, 금전적인 가치를 지닙니다. 이에 반해 Testnet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는 실체가 없는 가상 거래로, 금전적인 가치를 지니지 않습니다.
Mainnet이 실제로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라면, Testnet은 그 자동차를 정식으로 출시하기 전 여러 시뮬레이션과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뮬레이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토큰이란 정상적인 작동 유지를 위해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직접 발행한 토큰으로, 해당 네트워크의 기본 통화로 사용됩니다.
커스텀 토큰이란 기본적으로 지원되지는 않지만 별도의 목적을 위해 직접 발행된 토큰으로, 지갑의 토큰 리스트에서 보기 위해서는 직접 추가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모든 블록체인 거래에서는 가스비라고도 불리는 전송 수수료가 발생하며, 이 수수료는 오직 거래가 이뤄지는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토큰으로만 지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hereum 네트워크의 커스텀 토큰인 USDT 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할 USDT 뿐 아니라 수수료로 지불할 적정량의 ETH 역시 필요합니다.
Ethereum 네이티브 토큰: ETH
Klaytn 네이티브 토큰: KLAY
Polygon 네이티브 토큰: MATIC
Ethereum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토큰들은 Ethereum 의견 요청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에서 설정한 표준을 따라야 합니다.
해당 표준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ERC-20은 대체 가능한 토큰의 표준으로, 토큰의 한 단위를 해당 토큰의 다른 단위와 교환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ERC-20 토큰중 하나인 USDT의 경우 하나의 USDT가 가지는 가치는 다른 USDT가 가지는 가치와 항상 동일합니다.
이에 반해 ERC-721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표준으로, ERC-20과 달리 각 토큰이 고유한 가치를 가지며 서로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에 등록된 디지털 예술 작품을 나타내려는 경우에는 ERC-20이 아닌 ERC-721 표준을 활용하여 디지털 에셋으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손쉽게 해당 작품의 진위 여부와 소유권 기록을 증명할 수 있게되며, 해당 작품에 대한 소유권 기록과 신원 정보는 블록체인에 불변의 상태로 저장됩니다.
프라이빗 키는 자산이 보관된 지갑을 열 수 있는 계좌 비밀번호와도 같은 존재입니다.
예를 들어 ZETA Wallet의 프라이빗 키를 복사해 MetaMask, Kaikas 등의 다른 지갑에 등록한 경우, ZETA Wallet에 들어있는 모든 자산은 프라이빗 키가 등록된 다른 지갑에서도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프라이빗 키를 통해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해당 키에 연결된 자산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노출해서는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