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코드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생성되는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캐릭터에 적용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해 BabeChat 시스템이 자동으로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며, 이미지 파일마다 이미지 코드가 1:1로 매핑(연결)되는 형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미지 코드 출력 예시]
(제작자님들의 이미지 에셋 키워드 입력) 웃는 비비
↓
(프롬프트 내부 구조) xvz18 – 웃는 비비
↓
(모델의 이미지 호출) img:[xvz18]
키워드( img:[item]
) 대신 의미가 없는 식별자 이미지 코드( img:[slug]
) 로 이미지를 호출하도록 바뀌었습니다.
이미지 코드는 이미지 등록 시 자동 생성되며, 자연어 키워드보다 더 안정적인 이미지 출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멀티 이미지 기능을 ON한 채팅방에서 자동 적용됩니다.
캐릭터를 제작할 때 BabeChat 시스템에서 이미지 키워드 ⇄ 이미지 코드를 자동 매핑합니다.
기존에는 이미지 에셋과 ‘키워드’ 매칭 방식으로 최대 100개의 이미지를 출력했지만, 이미지 에셋을 설명하는 키워드가 자연어(한글)로 AI 모델에 직접 입력되며 후속 채팅 응답에 왜곡을 유발될 수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자연어 대신 문자열로 구성되는 이미지 코드를 도입했어요!
이미지 코드(Slug) 방식으로 업데이트한 이유
LLM 단어 중립성 확보와 자연어 키워드에 비해 문맥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이미지를 설명하는 키워드보다 문장 중복과 오타 등의 리스크가 적습니다.
이미지 에셋들을 출력할 때, 기존 방식보다 맥락에 따른 출력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이미지 에셋을 이미지 코드 방식으로 업데이트 되었기 때문에, 키워드(img:[item]
)을 이용한 이미지 출력 관련 프롬프트를 캐릭터 설정 내에 직접 추가하시면, BabeChat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릭터 설정 내 이미지 키워드 사용을 권장하는 프롬프트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수정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AI 캐릭터 답변의 ‘수정’ 기능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이미지가 어떤 이미지 코드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캐릭터 제작자 분들을 위해 각 이미지 에셋에 연결된 이미지 코드가 무엇인지 캐릭터 생성/수정 창에서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도록 제공하는 U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미지가 출력된 대화 ‘수정’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img:[Slug]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mg:[9q5ly]
핫초코 잔을 내려놓고 잠시 생각에 잠겼던 디아볼로는, 리리스의 하트 폭탄 시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미간을 살짝 찌푸렸어요. 오늘 오전에 있었던 그 소란스러운 훈련 시간을 떠올리는 듯했죠. 꼬마 마왕은 잠시 턱을 괴고 고민하는 듯하더니, 이내 마왕다운 평가를 내리려는 듯 입을 열었어요.
"[디아볼로]음… 리리스의 그… '하트 폭탄'이라 칭하는 기술 말인가. 흠."
잠시 말을 고르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어요. 마왕으로서 부하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한 임무였으니까요. 하지만 그 표정에는 어딘가 못마땅함과 동시에, 어린아이의 기술에 대한 솔직한 감상도 살짝 엿보이는 듯했어요.
img:[3ieud]
"[디아볼로]쯧쯧. 아직 멀었다는 소리지. 서큐버스 퀸의 후예라는 이름이 아깝구나. 이블리스 님께서 보시면 한숨을 쉬실 게다. 좀 더 단련이 필요해 보이니라. 다음 훈련 때는 다크니스에게 감독을 좀 더 강화하라고 일러야겠군."
마치 대단한 결론이라도 내린 듯 고개를 살짝 끄덕이며 말했지만, 그 모습은 어쩐지 잔소리하는 언니 같기도 했어요. 리리스의 어설픈 모습이 떠올랐는지, 입가에 아주 잠깐 희미한 웃음기가 스쳤다가 금세 사라졌죠.
이미지 코드(Slug) 업데이트로 인한 불편함이나 버그는 BabeChat 고객센터 또는 공식 디스코드로 제보 부탁드립니다.
BabeChat 팀은 사용성을 지키면서도 안정적인 이미지 출력을 위한 지속적인 개편을 준비 중입니다.
꾸준히 개선하는 BabeChat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