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제한 종목 등록

펀드 별 매매제한 종목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핀케치 고객지원2025-05-09
  • 경로 : 컴플점검 > 자료관리 > [50303] 컴플 매매제한 등록

  • 권한 : 컴플라이언스(조회•저장), 운용역/트레이더(조회)

각 펀드 별로 매매제한 종목을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1. '펀드 List'에서 펀드를 선택합니다.

    1. 건별 선택 : 건별 (선택 체크)

    2. 전체 선택 : |선택| 필드 클릭

      ※ |0000|전체|펀드는 저장이 불가하여 제외하고 선택해 주세요!

  2. '종목 List'에서 종목을 선택하고, '등록 자산 List'에 추가합니다.

    1. 종목 List에서 종목 더블 클릭

    2. 종목 List에서 종목 클릭 후 (좌측향 화살표) 클릭

      ※ 키보드에서 Shift(연속선택) , Ctrl(다중선택) 키를 누른 상태로 여러개의 항목을 선택하고 화살표를 클릭하면 여러 항목을 일괄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업로드

      1. 엑셀에 등록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맨 위에 제목 행 없이 바로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2. 작성 완료된 리스트 파일을 상단 [파일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해 주세요.

      ※ 업로드 항목

구분(제한/가능)

자산 구분(주식, 채권, 유동)

종목 단축코드

  1. '등록 자산 List'에 추가된 종목의 |구분|시작일자|종료일자| 설정 후 [저장(F7)을 클릭 합니다.

    ※ 여러 펀드를 한번에 저장하는 경우 저장 실행 팝업이 선택한 펀드 개수만큼 표시되고, 저장이 완료된 펀드의 펀드코드는 빨간색 글씨로 표시됩니다.

  2. 저장된 매매제한 종목은 10분 간격으로 자동 반영됩니다. 즉시 반영을 원하는 경우 아래 과정을 추가로 진행해 주세요!

    1. 펀드 선택 후 [점검실행] 클릭

      ※ 점검 실행은 대상 펀드를 한개씩 (선택 체크) 후 진행해 주세요!

    2. '컴플 펀드/수익자별 매매제한종목 생성' 팝업창에서 [실행] 클릭

    3. 점검완료 시 즉시 반영되어 해당 펀드/종목에 대한 주문지 생성 불가

설정한 매매제한 종목을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1. '펀드 List'에서 펀드를 선택합니다.

  2. '등록 자산 List'에서 매매제한을 삭제할 종목을 선택해 주세요.

    1. 건별 선택 : 건별 |삭제| 칸에 (선택 체크)

    2. 전체 선택 : |삭제| 필드 클릭

    3. 등록 자산 List에서 종목 더블 클릭

    4. 등록 자산 List에서 종목 클릭 후 (우측향 화살표) 클릭

  3. [저장(F7)을 클릭하면 매매제한 종목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