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매매 분리 점검•준법감시인 확인서

매매 과정에서 운용역과 트레이더의 역할 분리를 위반한 주문이 있는지 점검하는 화면과, 각 주문지에 대한 준법감시인의 확인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화면을 소개합니다.

핀케치 고객지원2025-05-09
  • 경로 : 컴플점검 > 자료조회 > [50115] 컴플 운용과 매매분리 점검

  • 권한 : 컴플라이언스

운용과 매매분리를 위반한 주문이 있는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 기준일자 : 조회할 기간 선택

  • 운용팀 : 액티브운용팀/준법감시팀 등 팀 별로 선택 조회 가능

  • 자산구분 : 전체/주식/채권 등 자산 구분 별로 선택 조회 가능

  • 위반항목 : 위반 항목별로 구분하여 조회 가능. 해당하는 항목에 '위반' 표시.

    • 전체

    • 위반(컴플라이언스) : 운용역이 주문지 생성 시 컴플 점검 항목에 위반되는 사항이 있는 경우

    • 위반(시간) : 운용역이 주문지를 생성하고, 트레이더가 매매처(증권가)로 전송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경우

    • 위반(운용매매분리) : 주문지를 생성한 운용역, 주문을 전송한 트레이더가 동일 인물인 경우

  • 경로 : 컴플점검 > 자료조회 > [50116] 준법감시인확인서

  • 권한 : 컴플라이언스

주문지 별 준법감시인의 확인 기록을 저장하는 화면입니다.

  1. [조회]를 클릭하여 주문지를 조회합니다.

    ※ 상단 조회 조건 지정 후 [조회]를 클릭하면, 조건과 일치하는 주문지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주문지를 선택합니다.

    1. 건별 선택 : 건별 (선택 체크)

    2. 전체 선택 : |선택|필드 클릭

  3. [준법감시인 확인]을 클릭하면 '준법감시' 상태가 미확인> 확인으로 변경되며 확인 기록이 저장됩니다.

  1. 준법감시인 확인 저장을 꼭 해야 하나요? 안하면 매매에 영향이 있는 걸까요?

    준법감시인 확인 저장은 매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단순히 화면을 조회한 것만으로는 준법감시인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증빙이 부족할 수 있고, 추후 감사나 내부 점검 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확인 기록을 저장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2. 감사 시 제출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화면도 알려주세요!

    [81105] 매매거래내역(금감원)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기 이용 or 거래가 많은 고객사의 경우 기준일자 설정에 따라 조회 및 다운로드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핀케치 고객지원으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