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리플렛 / 브로셔 / 전단지 / 파일홀더

종이에 인쇄된 홍보물로, 행사 안내나 제품 정보를 전달할 때 활용됩니다. 브랜드, 서비스, 제품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이고 풍부하게 소개할 수 있어 전시회나 홍보 현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피플포인트는 전시회에 사용되는 리플렛, 브로셔, 카탈로그, 전단지 등 종이 인쇄물을 모두 제작 가능하며, 디자인부터 출력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해드립니다.

아래에서 인쇄물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리플렛은 한 장의 종이를 2단이나 3단으로 접어서 만든 소형 인쇄물로, 회사 소개, 제품 안내, 행사 정보 등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담는 데 적합합니다.

전시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홍보물 제작 방식입니다.

(접지 없이 한 장 그대로 인쇄된 것은 리플렛이 아닌 전단지(플라이어)로 구분됩니다.)

기본사이즈 비율 - A4, A5, B5 등

세로형

정사각형

기본사이즈 비율 - A4, A5, B5 등

세로형

정사각형

4단 - 세로형

4단 - 정사각형

5단 - 정사각형

브로셔는 8페이지 이상의 종이를 제본한 소책자 형태의 인쇄물입니다. 회사 소개, 서비스 안내, 제품 설명 등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을 수 있어 전문성과 신뢰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주로 기업 브랜딩, 제품·서비스 안내, 제안서용 인쇄물로 활용됩니다. 리플렛보다 정보량이 많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전시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페이지 수가 적을 때 적용되며, 용지 가운데 부분을 스테이플러로 찍어서 반을 접는 형식입니다.

4의 배수로 페이지가 구성되어야 합니다.

  • 제본 방식: 종이를 반으로 접은 후 가운데를 스테이플로 고정

  • 특징: 책등이 없고, 스프레드(양면)로 잘 펼쳐짐

  • 페이지 수: 4~40페이지 이내에 적합 (4의 배수)

  • 장점: 제작비 저렴, 빠른 제작, 펼치기 쉬움

  • 단점: 페이지 수가 많으면 벌어지거나 찢어질 수 있음

  • 활용 예시: 소책자, 브로셔, 안내서

마치 책등이 있는 잡지나 도서처럼, 종이의 한쪽 면(책등)을 본드로 붙여서 제본하는 방식입니다.

4의 배수로 페이지가 구성되어야 합니다.

  • 제본 방식: 종이의 접히지 않은 면을 본드로 접착

  • 특징: 책처럼 펼치면 가운데에 등(책등)이 생김

  • 페이지 수: 40페이지 이상에 적합

  • 장점: 깔끔하고 고급스러워 보임, 두꺼운 페이지도 제본 가능

  • 단점: 180도 펼쳐지지 않아 읽을 때 불편할 수 있음 / 최근에는 180도로 펼쳐지는 PUR 무선제본 방식이 생겨남

  • 활용 예시: 도서, 카탈로그, 보고서, 매뉴얼

페이지수가 많을 경우는 무선제본이 적합합니다.

전단지는 한 장짜리 인쇄물로, 접지나 제본 없이 빠르게 내용을 전달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벤트, 쿠폰, 지역광고 등에 활용되며 A4, A5 등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됩니다.

리플렛은 접는 형태이므로 전단지와는 구분됩니다.

길거리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얇은 전단지와는 달리

전시회에서는 스노우 200g, 아트지 250g 등의 두꺼운 종이로 제작하여 고급감을 더합니다.

파일 홀더(file holder)는 일반적으로 리플렛, 브로슈어, 카탈로그 등을 깔끔하게 정리·보관할 수 있는 아이템입니다.

박람회, 세미나, 설명회에서 브로슈어·카탈로그·견적서·계약서 등 다양한 자료를 한 번에 전달 가능하며, 서류 전달 시 전문성과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 형태: 펼침형 파일홀더

  • 포켓 위치: 우측 or 좌측 or 양측

  • 포켓 기능: 브로슈어, 전단지, 견적서 등의 종이 자료를 꽂아 보관·전달 가능

  • 명함꽂이 홈: 포켓 중앙에 명함을 끼울 수 있도록 홈(슬릿)이 가공되어 있음

인쇄물 최소수량이 어떻게 되나요?

종이인쇄물의 경우 부수가 많을수록 장당 가격이 차이가 납니다.

최소수량은 딱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보통 리플렛이나 브로셔의 경우 1,000부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00부, 500부도 제작 가능하지만 1,000부와 제작비용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1,000부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500부와 1,000부의 제작비용 차이는 10% 정도입니다.

반대로 1,000부와 2,000부의 제작비용 차이도 10% 정도입니다.

리플렛이란 무엇인가요?

리플렛은 한 장의 종이를 2단이나 3단으로 접어서 만든 소형 인쇄물로, 회사 소개, 제품 안내, 행사 정보 등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담는 데 적합합니다. 전시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홍보물 제작 방식입니다. 접지 없이 한 장 그대로 인쇄된 것은 리플렛이 아닌 전단지(플라이어)로 구분됩니다.

리플렛은 접지 없이 제작할 수 있나요?

접지 없이 제작할 수는 있지만, 그 경우 일반적으로는 ‘전단지’로 분류됩니다. 리플렛은 ‘접는 인쇄물’이라는 개념이 포함된 용어이기 때문에, 한 장짜리는 리플렛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리플렛 제작 시 오시(접는 선)는 꼭 넣어야 하나요?

접는 리플렛은 접는 위치에 오시(접지선)를 넣어야 종이가 찢어지지 않고 깔끔하게 접힙니다. 오시 없이 손으로 접을 수도 있지만, 선이 없으면 비뚤게 접히거나 접힘 자국이 지저분하게 날 수 있습니다.

피플포인트에서 제작되는 리플렛은 기본적으로 오시(접는 선) 작업이 들어갑니다.

브로셔는 무엇인가요?

브로셔는 8페이지 이상의 종이를 제본한 소책자 형태의 인쇄물입니다. 회사 소개, 서비스 안내, 제품 설명 등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을 수 있어 전문성과 신뢰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주로 기업 브랜딩, 제품·서비스 안내, 제안서용 인쇄물로 활용됩니다. 리플렛보다 정보량이 많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종이 1장당 4페이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총 페이지수가 4의 배수로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브로셔 제작 시 표지와 내지 종이는 다르게 선택하나요?

브로셔는 일반적으로 표지를 더 두껍게, 내지는 얇게 제작해 완성도를 높입니다. 예를 들어 표지는 250g, 내지는 150g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요청에 따라 같은 종이로 통일 제작도 가능합니다.

8p 이하 : 표지, 내지 동일하게 200g을 추천드립니다.

8p 이상 : 표지 250g, 내지 150g을 추천드립니다.

20p 이상 : 표지 250g, 내지 100~120g을 추천드립니다.

브로셔와 리플렛의 차이는 뭔가요?

브로셔는 여러 장의 페이지를 제본한 소책자 형태로, 정보량이 많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리플렛 장을 접어서 간단한 내용을 담습니다. 리플렛은 한 장 구성만 가능하며 제본은 되지 않습니다.

리플렛은 한 장만 인쇄하고 접기만 하면 되므로, 여러 장을 제본하는 브로셔보다 제작비가 저렴합니다. 수량, 사이즈, 후가공 등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리플렛이 더 경제적입니다.

브로셔는 카탈로그와 다른건가요?

브로셔는 기업이나 서비스 소개 위주이고, 카탈로그는 상품 목록과 사양, 가격표 등 상세 정보가 정리된 형태입니다. 제품군이 많고 스펙이 중요한 경우 카탈로그가 더 적합합니다. 브로셔에 가격만 추가했다고 해서 카탈로그가 되지는 않습니다.

브로셔는 기업이나 서비스 소개 위주로 8~12페이지 정도, 카탈로그는 상품 목록 중심으로 20페이지 이상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적과 정보량에 따라 브로셔 또는 카탈로그로 구분해 주문하시면 됩니다.

전단지(플라이어)는 어떤 용도인가요?

전단지는 한 장짜리 인쇄물로, 접지나 제본 없이 빠르게 내용을 전달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벤트, 쿠폰, 지역광고 등에 활용되며 A4, A5 등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됩니다. 리플렛은 접는 선이 있는 형태이므로 전단지와는 구분됩니다.

전단지는 꼭 코팅할 필요는 없지만, 유광 또는 무광 코팅을 하면 잉크 번짐이나 구김을 줄일 수 있어 퀄리티가 올라갑니다. 예산이나 용도에 따라 무코팅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왜 페이지수가 4의 배수가 되어야 하나요?

제본 방식과 종이 구조 때문입니다.

인쇄물은 대부분 한 장의 종이를 반으로 접는 방식으로 제본합니다.

이 한 장에는 **4페이지 분량(앞면 2p + 뒷면 2p)**이 인쇄됩니다.

따라서,

  • 4페이지: 1장

  • 8페이지: 2장

  • 12페이지: 3장

    … 이런 식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항상 페이지 수는 4의 배수가 되어야 책자가 깔끔하게 제본됩니다.

만약 4의 배수가 안 되면?

4의 배수가 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합니다:

  • 빈 페이지를 추가해서 4의 배수로 맞추거나

  • 광고, 안내, 표지 안쪽 디자인 등으로 구성해 자연스럽게 채워 넣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