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송 수는 해당 메시지가 카카오톡, 문자 대체발송으로 전송된 건수예요.
아직 발송일, 발송 시간이 되지 않았다면
-
로 표시돼요.발송일, 발송 시간이 되었지만 고객에게 발송되지 않았다면 0건으로 표시돼요.
발송 수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메시지를 등록했지만 아직 발송되지 않은 상태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발송되지 않은 경우
일회성 메시지는 발송 시도한 수도 같이 보여드려요.
(예시) 3,000명의 고객에게 메시지를 발송했지만 30개만 성공했다면,
발송 수는 30 / 3,000
으로 표시돼요.
자동 메시지는 새로운 고객이 조건을 충족할 발송되기 때문에,
매일마다 발송 수가 늘어날 수 있어요.
(예시) "A/S 완료 고객에게 3일 뒤 안내 메시지" 설정 시
오늘 10건, 내일 8건, 모레 12건 발송 → 누적 발송 수 = 30건
친구톡 발송이 실패했을 때, 대신 문자(LMS)로 보내진 건수예요.
아직 발송일, 발송 시간이 되지 않았거나, 대체발송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
로 표시돼요.발송일, 발송 시간이 되었고 대체발송을 사용하지만,
고객에게 발송되지 않았다면 0건으로 표시돼요.
친구톡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발송에 실패할 수 있어요:
카카오톡 채널 친구가 아닐 경우
수신자가 카카오톡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친구톡을 등록할 때, 문자 대체발송의 스위치를 켰을 때 발송돼요!
스위치가 꺼져 있으면, 대체발송되지 않아요.
메시지 안에 들어간 버튼이나 링크가 클릭된 비율이에요.
클릭률이 높다는 건, 고객에게 유의미하거나 메시지 문구가 잘 설계되었다는 뜻이에요.
클릭률은 자동으로 트래킹되기 때문에, 브랜드에서 따로 설정할 필요 없어요.
클릭률은 메시지가 발송되었을 때부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돼요.
아직 발송일, 발송 시간이 되지 않았다면
-
로 표시돼요.메시지를 받은 고객이 있지만 아무도 클릭하지 않았다면
0%
로 표시돼요.
계산식: 클릭 수 ÷ 메시지 발송 수 × 100(%)
(예시) 메시지 발송 1,000건 중, 85명이 버튼 클릭 → 클릭률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