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P 공식 가이드

  • ZEP은 이용자 보호와 디지털 웰빙을 위해 안전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젭에서 타인에게 실명, 주소, 학교, 전화번호 등 가능한 개인정보 공유하는 행동을 지양해주세요.

  • 개인정보를 요구할 경우, 응답하지 말고 즉시 관리자나 보호자에게 알려주세요.

과사용 예방을 위해 아래 내용들을 미리 확인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과사용 예방 지시서를 참고해주세요.

  • 이용하기 전 이용 목적 설정

  • 이용시간 설정

  • 디지털 디톡스: 장시간 이용 X, 휴식 기간 가시기

  • 주기적으로 자기 상태 점검

  • 디지털 에티켓 지키기

  • 불편을 주는 행위를 하는 이용자는 신고 (캐릭터 클릭 > 오른쪽 상단 버튼 > 신고하기)

  • 외부 도움 받기

국가 별 자살/자해 예방 시스템

Argentina

Australia

Austria

Brazil

Canada

France

Germany

Hong Kong

India

  • Samaritans Mumbai 084229 84528

Indonesia

  • Call Center 24 jam Halo Kemenkes / 1500-567

  • Hotline Kesehatan Jiwa Kemenkes / 021-500-454

  • SMS: 081281562620

  • Email: kontak@kemkes.go.id

Ireland

  • Samaritans 116 123

  • Jigsaw – the National Center for Youth Mental Health 01-472-7010

Israel

Italy

Malaysia

  • Befrienders KL 03-7956 8145

Mexico

Netherlands

New Zealand

Philippines

Poland

Portugal

  • SOS VOZ AMIGA 21 354 4545

Russia

Singapore

Spain

Switzerland

Taiwan

  • 安心專線:1925

Thailand

Turkey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 National Suicide Prevention Lifeline 1-800-273-8255

  •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1-800-950-6264

  • Crisis Text Line 741-741

Vietnam

이외에 국가의 상담 센터의 정보가 필요할 경우 문의를 남겨주세요.

행복한 메타버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모두가 함께 디지털 에티켓을 실천해요. 여러분의 말과 행동은 즐거운 공간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사이버 불링

    • 조롱/모욕/비난/수치심 주기

  • 협박

  • 스토킹

  • 개인 정보 유출 하지말기

  • 공감하고 배려하기

메타버스를 건강하게 활용하고, 스스로 사용 습관을 관리해 과의존·과몰입을 예방한다.

  • 균형: 학습·일·휴식·수면·운동과 균형을 맞춘다.

  • 시간관리: 목표-이용-종료의 사이클을 명확히 한다.

  • 자기점검: 주기적으로 내 상태(감정, 수면, 대인관계, 비용)를 점검한다.

  • 책임: 온라인에서도 현실과 동일한 책임·예절을 지킨다.

  • 오늘의 사용 목적 1가지를 적는다. (예: “퀴즈 3세트”, “프로젝트 맵 피드백 20분”)

  • 최대 이용시간을 정한다. (권장: 1회 40~50분, 휴식 10분)

  • 알림/메시지 방해요소 최소화(방해 금지/집중 모드) 설정

  • 타이머 켜기: 40~50분 타이머 + 중간 2~3분 눈·손목 스트레칭

  • 활동 중심: 관전·대화만의 장시간 체류 대신 미션·과제 등 목적형 활동 유지

  • 신체 관리: 30분마다 화면에서 눈 떼기(원거리 20초), 물 마시기, 자세 리셋

  • 감정 관리: 과도한 경쟁/랭킹에 스트레스 받으면 즉시 휴식 전환

  • 목표 달성 확인 → 달성했으면 바로 종료

  • 기록: 오늘 총 이용시간, 느낀 점 1줄, 내일 조정 포인트 1개

  • 오프라인 리셋: 산책·스트레칭·대화 등 10~15분

다음 중 2개 이상 1주 이상 지속되면 이용시간 50% 감축 + 상담 권장

  • 수면 지연/수면 질 저하

  • 지각·과제 미제출 등 생체리듬 붕괴

  • 짜증·우울·무기력 증가, 현실 관계 회피

  • 무단 야간 접속, 과소비(아이템·구매 충동)

  • 성적·성과의 급격한 하락

    조치 순서: (1) 주간 계획 재설정 (2) 알림/접근 시간 제한 (3) 보호자·교사·전문기관 상담 연계

  1. 학생

    • 주간 이용계약(보호자/교사와 함께): 요일·시간·목적·장소를 표로 관리

    • 숙제·과제 우선: 학습 완료 후 접속(보상형 사용)

    • 과소비 방지: 결제는 보호자 승인, 광고 시청 시간 한도 설정

  2. 보호자

    • 공동 규칙: 집/야간 이용시간, 구매 승인, 신고·차단 방법을 사전 합의

    • 점검 대화: 목적 달성, 사용시간, 컨디션 등으로 3문항 고정

    • 환경 관리: 수면 시간 확보, 학습/운동/가사 참여 등 오프라인 루틴 유지

  3. 교사/운영자

    • 세션 설계: 40~45분 활동 + 5~10분 오프보딩(눈휴식·소감 공유)

    • 타임박스: 목표 제시 → 중간 체크 → 종료 리플렉션 카드

    • 자극 최소화: 랭킹·알림 빈도는 낮고 짧게, 과도한 경쟁 유도 금지

    • 문제 신호 대응: 집중 저하·야간 접속 반복 학생은 개별 상담/휴식 안내

다음 4문항에 예/아니오로 답한다.

  1. 이번 주 목표-종료 시간을 지켰는가?

  2. 야간(예: 22:00~07:00) 접속을 피했는가?

  3. 이용 후 기분/컨디션이 더 나아졌는가(피로·무기력 증가 시 경고)?

  4. 학습·수면·관계에 지장이 없었는가?

    • ‘아니오’ 2개 이상이면 다음 주 총 이용시간을 20~50% 감축하고 규칙 재설정

  • 과의존 상태에선 노출/체류가 과도해지기 쉽다.

  • 개인정보 최소 제공, 위치·학교·연락처 등 민감 정보 비공개 처리

  • 신고·차단·차단 해제·기록 삭제 절차 숙지

  • 괴롭힘/위협·자해 암시 등 위기 신호 즉시 신고 후 이용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