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신라호텔의 임원에게 호텔사업의 본질이 무엇인지 물어 보았습니다.

해당 임원은 "서비스업"이라고 답하였지만 이 회장은 동의 하지 않고 그 답을 생각하여 보고 하라고 하였습니다.

그 임원은 해외 유명 호텔을 벤치마킹하며 호텔사업의 본질을 연구하였고, 한국으로 돌아와 이 회장에게 호텔사업은 "장치산업과 부동산업" 이라는 보고를 하였습니다.

입점지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갈리고 새로운 시설로 모객을 하여야 한다는 내용 이였습니다.

이 회장은 그제서야 동의를 하며 "장치산업이자 부동산업"으로서 호텔의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전략를 수립할 것을 지시하였습니다.

신라호텔의 야외수영장, 한때 미슐랭 3스타로 이름을 알린 "라연"을 같은 F&B사업 등이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신라호텔은 세월이 많이 지난 현재까지도 국내 1등 호텔이라는 타이틀을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저희가 생각하기에는 카페라는 "업의 본질" 은 아래 4개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메가커피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이유 : 목을 축이거나, 카페인을 충전하는 것

경쟁대상 :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음료수

"메가 커피"로 필두되는 저가 커피 시장이 여기에 해당 할 것입니다.

경쟁 대상은 편의점 이기에, 저렴한 가격이 필수로 볼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이유 : 지인과 수다를 떨거나, 공부를 하거나 , 잠시 업무를 하기 위한 쾌적한 공간

경쟁대상 : 집

"스타벅스"를 필두로 하는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가 속해 있는 시장입니다. 대부분 목이 좋은 자리에

위치하고, 쾌적한 온도 유지, 무료 와이파이, 콘센트 제공 등 공간 대여에 충실합니다.

부산 웨이브온 커피피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이유 : 여행, 휴양지, 호캉스를 온 것 같은 기분을 내는 것

경쟁 대상 : 호텔, 리조트

예시로 "웨이브온커피", "모이핀" 같은 대부분 교외 대형카페 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관광업에 걸맞게 오션뷰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거나, 호화스러운 건축, 잘 가꾸어진 정원 등

짧은 시간 동안 휴양의 느낌을 주는 것으로 "단기 렌트" 형태의 호텔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밀 - 봉지훈 바리스타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이유 : 장인 정신, 새로운 미식의 경험

경쟁 대상 : 오마카세, 미슐랭 레스토랑

예시로 "박이추 커피", "핸드드립 카페", "바리스타&로스팅 대회 수상자 카페" 등 장인정신과 맛을 추구하는 매장들이 여기에 해당 합니다.

더 나은 맛을 찾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였는지 어필 하고 바리스타의 퍼포먼스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런던베이글뮤지엄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이유 : 새로운 문화의 경험

경쟁 대상 : 전시회, 콘서트 등

예시로 "누데이크", "런던베이글뮤지엄", 콜라보레이션 팝업 스토어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색다름을 추구하거나, 이국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제시합니다.

헌법은 국가의 기초이자 근간이며 모든 국가기관 및 권력의 존립 근거입니다.

"본질"이라는 헌법 아래 적합한 컨셉트, 인테리어, 메뉴, 마케팅, 영업 전략이 있을 수 있게 됩니다.

점주님 카페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곰곰히 생각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디저트코는 전통적으로 제조업/유통업이지만,

우리는 업의 본질을 "제조 벤처캐피탈"로 정의합니다.

당장의 생산효율이나 수익성을 따지지 않고

고객의 니즈가 있지만, 경쟁사에서 만들지 않는 제품

미래를 보고 투자하며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확실한 미래 예측 방법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다."

-피터 드러커

감사합니다.